Lee Kyu Hyeon
PD, Contents Planner

이력

    •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졸업
    • IFCC기획팀 2019.03~2019.12
    • 한국언론학회,롯데홈쇼핑 영상 공모전 우수상 2020.09 
    • 프로젝트 자유 콘텐츠 제작팀 2021.03~2021.06
    • 무드 에이전시 영상 콘텐츠 제작팀 2021.06~2021.08
    • 무드 에이전시 영상 콘텐츠 제작팀 2021.12~2022.02
    (주)인크릭스 크리에이티브 팀 PD 2022.03~2022.07
    영화 <천우,지음(天佑, 知音)> 연출, 제작 2023.01 
    Youtube ‘연예백서’ 편집자 2023.01~2023.07
    Ginger group 기획, 브랜딩 2023.03
  •      영화 <녹색호랑이> 연출, 제작 2023.08
  •      Youtube ‘꿀맛리뷰’ 편집자 2023.10~2023.12
  •      MV <Pink+White> 연출, 제작 2023.12
  •      Youtube ‘하우스랩’ 편집자 2024.03~2024.06
  •      Youtube ‘보험상담소’ 편집자 2024.04~2024.07
  •      영화 <Apophänie> 연출, 제작 2024.04
  •      영화 <모두가 사랑할 시간> 제작 PD 2024.05
  •      ‘아미고’ 광고 샘플 기획, 제작 2024.05
  •      ‘블링썸’ 광고 샘플 기획, 제작 2024.05
  •      MV XIKERS -‘Tsuki' 현장 연출부 팀원 2024.06
  •      카카오쇼핑라이브x포렌코즈 현장보조 2024.06
  •      라이브나우x낫포유 현장보조 2024.07
  •      카카오쇼핑라이브x에스트라 현장보조 2024.07
  •      올리브영x필리밀리 현장보조 2024.08

사용가능툴

    •   Adobe Photoshop (상)
    •   Adobe Illustrator (상)
    •   Adobe Premiere Pro (상)
    •   Adobe After Effects (중)
    •   DaVinci Resolve (중)

Film
1) Apophänie (아포페니아)

러닝타임 : 12분

기획 : 이규현100%
각본 : 이규현100%
연출 : 이규현100%
콘티 : 박다영
촬영 : 이시은
조명 : 이시은, 이규현40%

미술 : 이규현80%, 박다영
편집 : 이규현100%
DI : 이규현100%
효과 : 이규현100%
그래픽 디자인 : 이규현100%

음향디자인 : 이규현100%
출연 : 남가설
조연출 : 정지윤
동시녹음 : 조두연
의상 : 이규현100%
- 아포페니아 (Apophänie)

서로 무관한 현상들 사이에 의미, 규칙, 연관성을 찾아내서 믿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아포페니아는 주변 현상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려는 인간 사고의 특징이기도 하다. 또한 모호하고 흐릿한 자극을 명백하고 뚜렷하게 지각하는 ‘파레이돌리아(Pareidolia)’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나무껍질에서 성모 마리아의 모습을 보거나, 멕시코의 대표적인 빵인 토티야의 불에 탄 얼룩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을 찾는 것 등이 파레이돌리아의 예이다.

파레이돌리아가 주로 시각적인 자극의 착각을 지칭한다면, 아포페니아는 좀 더 확장된 개념으로서 서로 연관성 없는 현상들에서 의미를 부여해 믿는 행위이다.

1990년대 초 서태지와 아이들이 발표한 가요 〈교실이데아〉를 거꾸로 들으면 악마의 목소리가 들린다는 소문이 파다했던 적이 있었다. 이는 청각자극에 의한 아포페니아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오후에 무심코 시계를 봤을 때 4시 44분이었는데, 다음 날 오후에도 시계를 봤을 때 4시 44분이었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소한 동시성에서 질서를 찾아내고 의미를 부여하려고 한다. 또한 유명인사들 여러 명과 생일이 같을 때, 간밤에 자연재해가 발생하는 꿈을 꾸었는데 지구 반대편에서 쓰나미가 일어났다는 아침뉴스를 보았을 때도 우리의 의식은 의미를 찾으려 움직인다. 즉 우연에 가치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 무죄한 인간의 고통

‘왜 죄 없는 사람이 고통받는가? 그러므로 신은 없거나, 있어도 무능하다.’

예나 지금이나 이와 같은 의문과 울분 속에서 자주 무너져내리는 것이 인간의 삶이다. 왜 죄 없는 학생들이 바닷속으로 가라앉아야 하고, 왜 갓 태어난 아이들이 살균제를 들이마시며 죽어가야 하는가.

인간은 별안간 닥친 불행, 그 자체로 인해 고통스럽기도 하지만 사실 그 불행의 이유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더욱 고통스럽다. 자신의 불행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사실을 견디느니, 차라리 어떻게든 의미를 찾으려 헤매는 길을 택하기도 한다. 내 아이가 어처구니없는 확률(우연)의 결과로 죽었다는 사실이 초래하는 숨막히는 허무를 감당하기보다는, 차라리 이 모든 일에 내가 이해 할 수 없는 신은 오히려 그 때 비로소 탄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어떤 거대한 섭리가 존재한다고 믿는 편이 살아 있는 자를 겨우 숨쉬게 할 수 있다면?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강력히 입증하는 증거 앞에서 오히려 신이 발명되고 마는 역설.
가장 끔찍한 고통을 겪은 인간이 오히려 신 앞에 무릎을 꿇기를 선택하는 아이러니.




2) 녹색 호랑이

러닝타임 : 약 30분

기획∙각본∙연출∙편집 : 이규현100%
콘티 : 이규현100%
각본 기획 : 이규현40%, 김민재, 한정우
시각디자인∙소품디자인 : 이규현100%
음향디자인 : 이규현100%
출연 : 김정연, 김기영, 윤소연, 남가설, 구현성,
최진호, 이상국, 김기범
촬영 : 이규현70%, 정지윤
조감독 : 이자빈
음향 : 이윤지
의상 : 김민재
도움 주신 분들 : 이헌준, 이민호, 강민우, 도솔지
- 문화/자연이라는 대립 구조에 대한 재고

해당 극 속 이야기는 서구 사상을 특징짓는 문화 / 자연 대립구조에 대한 의문을 기본 골자로 한다. 우리 사회는, 문명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비문명적인 것)들로 철저히 이분되어 왔다. 생물 / 무생물, 인간 / 비인간, 남성 / 여성, 의식 / 무의식, 실제 / 비실제, 삶 / 죽음, 언어 / 비언어 같은 인간 중심적 구분은 일련의 구조와 그에 응당한 힘을 가지며 일종의 ‘상식'으로 까지 자리 했다.

해당 극은 ‘익숙한 구분을 낯설게 하는, 사이 공간’에 대한 메시지를 내포한다. ‘상식적'이고 공고한 이분법 구조에 대한 재고의 여지를 우리는 일상에서 매우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수많은 서사, 심지어 본질은, 이분법이 만든 양 극단 그 사이 공간에서 기다린다. 문화 / 자연이라는 대립 구조가 세워지는 그 순간에, 그 이분으로 결코 설명하기 어려운 무수한 것들이 생략되거나 억압되는 셈이다.

사이 공간에 대한 간과와 단순한 이분 구조는, 자칫 인간만이 살고 있지 않은 세상에서 오직 인간만이 중심이 되는 사고를 낳는다. 이 사실에 대한 주의부터가 이 극의 서사를 건설함의 시작이다.

성정체성과 관련된 근본적인 불확실성, 인간의 욕망과, 인간의 것이 아닌 듯한 어떤 욕망 그 사이 어디를 욕망하는 익숙하면서도 낯선 상태, 인간의 언어와, 그 이외의 소통 방식,죽었지만,온전히죽지않은사람. 이 극이 담고있는 모든 요소는, 우리가 모호하다 여기는 사이 공간을 가리키고 있다.

- 여성 신체의 비체(卑體, abject)화 문제 삼기

비체(卑體, abject)란, 매혹과 반감이 공존하는 불쾌한 대상이자 모든 주체의 정체성과 통일성, 체계, 질서를 무시하고 위협하는 중간적인 것, 모호한 것, 복합적인 것으로서 주체가 주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 억압하고 밀어내야하는 존재이다. 예시로는 음식물, 구토, 오물, 피 등이 있다.

신체는 역사적으로 꾸준히 비체화 되어 왔다. 이를테면 여성 신체의 형상은 특정 상징화 되어 성적 이상, 지배 이념의 미학이 투영되는 타자화된 장소가 되기도 했다. 또한 월경혈은 오염과 금기의 혐오 대상으로써 은폐화되며, 성별 자체에 대한 혐오 표현으로 전락한 바 있다.

해당 극에서는 여성의 몸이 비체화 되어 온 것에 대한 저항적 목소리를 낸다. 의식하고 있지 못했던 혐오에 대한 경종을 울리고자 하는 것이다. 특정 상징과 메타포가 이를 대변하며, 그로써 좀 더 다층적이고 힘이 실린 메시지를 구현함을 지향한다.




3) 천우, 지음 (天佑, 知音)

러닝타임 : 17분
기획∙각본∙연출∙편집 : 이규현100%
콘티 : 이규현100%
시각디자인∙소품디자인 : 이규현100%
음향디자인 : 이규현100%
출연 : 한정우
나레이션 : 전서연, 정태영
촬영 : 이규현50%, 백정하, 홍지훈  
음향 : 이자빈, 강현서

- 보이지 않는 것을 믿는 것

이 각본의 서사는 첨예한 사회 문제를 야기한 조현병 환자들에 대한, 매스컴과 대중들의 시각들을 따라가며 창작되었습니다. 환자가 저지른 범죄가 빚은 충격의 정도 만큼이나 그를 극히 단편적으로 속단하고 국한짓는 시각의 폭력성도 대단했습니다. 즉, 이 각본은 조현병 환자, 혹은 그에 연관한 사회문제 자체와는 아무 관련이 없음을 밝힙니다. 기획자는 조현을 겪어보지 못하였으며, 그와 관련한 내면의 과정과 변천을 이해하기 불가능 하기에 그렇습니다. 조현병 환자가 아닌 사람이 조현병 환자인 사람의 이야기를 쓰는 것은 위험합니다. 다만, ‘현악기의 줄을 고른다’는 뜻의 유래를 통해 정의한 ‘조현’이라는 단어의 피상적 발상만을 극의 소재 중 일부로 인용하였습니다. 이 극은 어느 사안에 대한 얄팍하고 경솔한 진단이 뭉치면 그 폭력성은 개개인에게 너무나도 치명적임을 말하고자 하며, ‘보이지 않는 것들을 믿고자’ 신경쓸 때 비로소 누군가에게 그런 치명상을 입히지 않고 살아갈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사람들은 눈 앞에 나타나 있고 손에 확연하게 잡혀야만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삶은 보이지 않는 것들이 만듭니다. 우리 행위의 모든 것은 ‘의미’라는 관념의 변증법이기 때문입니다. 관념은 보이지 않고, 모두가 그를 좇으며 살고 있음을 겸허히 인정해야만 인간이 완연히 이성적인 존재라 착각하는 실수를 줄일 수있고, 또한 더 많은 순간에 서로를 어루만질수 있습니다. 극 초반 등장하는 카프카 소설의 한 구절은 그를 충실히 대변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흐르는 형태의 의미가 예술 뿐 아니라 세상을 구성하며, 보이지 않는 것을 믿는 것은 다른 사람을 헤아리는 일과 같은 것임을 깨닫게 합니다.

천우(天佑) : 하늘의 도움. 또는 신명의 가호
지음(知音) : 「거문고 소리를 듣고 안다.」는 뜻으로, 자기의 속마음까지 알아주는 친구

극에 등장하는 ‘천음’과 ‘지우’의 이름을 구성하는 글자들을 뒤섞은 말들이기도 하면서, 극의 설정들과 맞닿는 의미들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기 발상에서 조현병의 조현이 '현악기의 현을 조절한다'는 뜻을 가지는데, 지음(知音)의 의미의 유래에는 거문고라는 현악기가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




4) 모두가 사랑할 시간

제작 PD

예산안 수립 및 예산 관리
장소 섭외 / 배우 섭외
식대, 차량, 촬영 시간 관리, 현장 통제 등






Lee Kyu Hyeon  Portfolio  2024